거지 깡통이 따로 없구만~
요즘은 닭도리탕 대신 닭볶음탕이라고 하는 모양입니다.
도리가 새나 닭 혹은 닭고기를 이르는 일본말이니
당연히 닭볶음탕을 써야겠지만 왠지 맛이 좀 덜할 것 같은 느낌이지요.
스피커 케이블을 사러 세운상가에 갔다가 요기차 들른 피마골목에
당연히 없어졌을 줄 알았던 닭볶음탕집이 30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건재해 있어
마치 옛친구를 만난 것처럼 한편으론 놀랍고 한편으론 반갑기까지 하였습니다.
그럼 맛은 어떨까요?
미닫이 유리문을 드르륵 밀고 들어가니
식탁 위에는 찌그러진 냄비에 닭볶음탕 넣고 위에는 다진 마늘을 듬뿍 넣어 식지 않도록
미리 상차림을 해놓고 있는 모양이 예나 지금이나 하나도 달라진게 없습니다.
7시가 넘기 시작하면 자리가 꽉 찹니다.
그동안 돈을 많이 벌었는지 그 옆의 작은 가게 하나를 터서
이 집은 출입구만 3갭니다.
기본 상차림입니다. 콩나물국은 거의 국물이 없어 그냥 같이 끓여 먹어도 괜찮습니다.
세운상가 옆 피마골목은 세운상가가 날리고 있었을 시절부터 이 근방 종사자들의
끼니 때울 식사부터 희로애락을 함께 할 술안주거리까지 책임지고 있어
비록 값비싼 재료를 쓰는 것은 아니지만 값싸고 맛좋은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진 마늘이 육수에 퍼져 걸쭉한 국물을 만듭니다.
닭은 역시 뼈발라먹는 재미지요.
고기가 느끼해질 때면 하나씩 집어먹는 깍두기.
저 양푼 하나에 닭 한마리가 들어가는데 가래떡과 감자가 들어있어
둘이 먹어도 배가 터질 지경이지만 칼국수 사리 하나는 먹어줘야 섭섭지 않지요.
국수안주가 생겼으니 이슬이 한병 또 까야지요.
'아줌마! 여기 쏘주 하나 더~'
밥까장 말아 먹습니다.
꿀꿀이죽이 따로 있나요?
같이 갔던 친구들, 먹은 것 좀 보소.
늦게 온 사람 먹어보라고 말 한마디 없이 얄밉게 아귀아귀 먹더니만
먹은 자리까지도 얄밉습니다.
거지 깡통이 따로 없구만.
걸지게 트림 한번 꺼억~ 하더니
어디가서 호프나 한잔 하잡니다.
멀리 갈 필요 있나요?
이쁜 아줌마 있는 근처 허름한 호프집이면 왔다지요.
서비스 안주로 강냉이 대신 건빵, 아니 이런 걸 뭐라 그러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엤따, 처먹어라'처럼 올려 놓았지만 과일 안주가 제법 푸짐합니다.